활동사업
한국 치매노인 4년 새 27% 급증… 10년 후 100만명 넘는다
관리자
2012-07-30 오전 11:07:41
3466

현재는 53만명… 조기치료하면 요양원 갈 확률 절반으로
"뇌세포 파괴된 상태에선 약물치료로 재생 불가능… 조기발견·약물투여가 최선"
증상 나타날 때 치료하면 20년 후 환자 20% 감소

대표적 노인 질환인 치매(癡�f) 공포가 한국을 엄습하고 있다. 급속한 고령화 여파로 65세 이상 치매 환자가 올해 53만4000명에서 10여년 후인 2025년에는 1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전망돼 보건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치매 환자의 급증세는 이미 올해 본격화한 것으로 정부는 파악하고 있다. 올해 65세 이상 치매 환자 수는 첫 치매 유병률 전국 조사가 시작된 2008년(42만1000명)에 비해 불과 4년 만에 26.8% 늘어났다. 같은 기간 노인 인구가 501만6000명에서 589만명으로 17.4% 늘어난 것에 비해 증가 속도가 훨씬 빠른 것이다. 2020년에는 80만명, 2025년에는 103만명, 2050년엔 노인 8명 중 1명(237만9000명)이 치매를 앓을 것으로 추정됐다.

치매 급증이 발등에 불로 떨어졌지만 그렇다고 조만간 치매를 완치시키는 획기적인 약물이 나오는 상황도 아니다. 더 늦기 전에 "설마 내가?"에서 "나도 혹시"로 치매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

노화로 뇌 조직을 파괴하는 베타 아밀로이드라는 이상 단백질이 뇌 곳곳에 쌓이고 뇌 조직이 쪼그라들면서 치매가 온다.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를 건드리면 망각 증세가, 대뇌를 점령하면 인지 기능과 언어 기능을 상실한다. 이런 노인성 알츠하이머 치매가 전체의 50~70%를 차지한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이재홍 교수는 "뇌 세포가 파괴된 상태에서는 약물로 재생이 불가능하다"며 "치매 약을 일찍 복용할수록 약물의 효과가 커서 치매 증세의 악화를 다소 늦춰줄 수 있다"고 말했다. 신경의학계는 이런 치매 조기 발견→조기 치료로 치매 악화를 2년 지연시키면, 20년 후 치매 환자 수를 20%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혈관에 동맥경화가 생기면, 뇌혈관도 곳곳이 좁아지고 막혀 미세한 뇌졸중이 곳곳에 생긴다. 이로 인해 뇌기능 전반이 감퇴해 생기는 것이 혈관성 치매로, 전체의 20~30%를 차지한다. 따라서 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비만 등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만성질환을 줄이면 동시에 치매 예방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건국대병원 신경과 한설희 교수는 "고스톱처럼 한 번 길든 내용을 반복해서 하기보다는 끊임없이 새로운 내용을 접하고 배우는 활동이 뇌 세포 활성에 도움된다"며 "신문 읽기나 외국어 공부, 잘 알지 못했던 것에 대한 탐구 활동이 치매 예방에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7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확정한 ''''제2차 국가 치매관리 종합계획''''을 29일 발표했다. 초기 치매 환자를 더 많이 발견하기 위해 75세 이상 독거 노인과 75세가 되는 노인을 검진 우선 대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가벼운 치매를 앓는 환자들이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장기요양 3등급(일상생활에서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의 인정기준을 55점에서 53점으로 낮췄다. 신체기능뿐 아니라 인지기능의 장애도 등급 평가에 반영될 수 있도록 관련 항목의 비중을 늘리기로 했다.

치매 환자 가족에 대한 지원도 강화된다. 치매 환자가 예측하지 못한 행동을 할 때 상담할 수 있도록 ''''치매 통합상담콜''''을 운영하고, ''''하루 여행 가기''''나 스트레스 관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운영할 예정이다.
 
[기사출처 : 조선일보]